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6

도커 이미지 푸시하기 0. PUSH할 원격저장소를 만든다. docker hub (https://hub.docker.com/) 에서 로그인 후, 원격저장소를 생성한다. github저장소처럼 "ID/원격저장소명"으로 주소가 만들어진다. 1. 도커 로그인 $ docker login Login with your Docker ID to push and pull images from Docker Hub. If you don't have a Docker ID, head over to https://hub.docker.com to create one. Username: [YourID] Password: ****** Login Succeeded 2. Docker hub에 올릴 이미지를 찾는다. 여기서 필자는 REPOSITOY에 simple-.. 2022. 12. 12.
[쿠버네티스] 서비스(Service) 이용하기, 클러스터IP에 접속이 안될 때, 요약 쿠버네티스를 이용하면,파드를 통해 클라이언트들이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각각 파드의 주소가 존재하는하고, 클라이언트는 어느 파드로 갈지 명시하지 않았는데도, 쿠버네티스가 알아서 각각의 파드가 처리하게 만들어준다. 즉, 네트워킹이 쿠버네티스에 의해서, 알아서 처리되는데, 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원이 "서비스(Service)"이다. 즉, 파드로 실행중인 앱을 네트워크서비스로 노출하게 해주는 자원이다. 서비스를 이용하기위해 각 파드, 노드가 만족해야할 사항[1] 각 파드는 노드상의 모든 파드와 통신할 수 있어야함 노드상의 에이전트(데몬, kubelet)은 해당 노드의 모든 파드와 통신할 수 있어야함.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서비스로 외부에 노출하기 .. 2022. 12. 10.
분류문제: Cross entropy 대신에 MSE을 쓸 수 있나? + 역전파 및 MLE해석 본 포스팅은 naver d2 이활석님의 발표자로를 글과 이해가 쉽도록 만든 Figure들로 재구성했음을 알립니다. 요약 MSE로 최적화하는 것과 MLE로 최적화 하는 것은 동치이다. sigmoid을 출력값으로 하는 경우 MSE로 최적화하는 것보다 CE로 하는 경우, 학습이 더 빨리 된다. 이는 activation function(sigmoid)의 도함수를 한 번 계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1. Backpropgation (역전파) 과정에 대한 가정(Assumption) 역전파알고리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2가지 가정이 일단 필요하다 [1]. Average $E = 1/n \sum_{x}E_{x}$: $n$개의 training 데이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x$에 대한 손실함수의 합의 평균은 손실함수 전체.. 2022. 11. 23.
[KS:017670], SK텔레콤 5G 도입이후 실적 견인 및 최근 이슈정리 + 사업리뷰 투자전에 알아두어야할 기초 용어 MNO(Mobile Network Operator): 직접 통신망을 소유하고 판매하는 사업자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이통통신 재판매 사업자(Reseller). 가상이동통신망 사업자. 실제로는 통신망이 없는데, 통신망이 있는 것처럼(통신망을 빌려서 판매하기 때문에) 통신상품에 이윤을 붙여 판매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MNO에게 망을 의무적으로 개방하게끔 되어있다 [3].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멀티미니더 콘텐츠를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디지털 셋톱박스에 연계된 TV단말기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TV서비스를 말한다 [3]. CATV (Cable TeleVision): =케이블TV. 광.. 2022. 11. 20.
구글드라이브 파일 wget 사용하기 1. 구글드라이브에 올라간 파일의 고유 ID을 다음과 같이 얻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1q4d8FmF452uJ9SdlW1zQ2SMJYAphKwts"가 파일의 고유ID입니다. 2. wget사용하기위해서, gdown이라는 패키지를 다운받습니다. python3 -m pip install gdown 3. gdown을 이용하여 다운받습니다. // 파일 고유ID을 이용해서 다운로드 $ gdown --id [파일고유ID] // 파일 고유ID을 이용해서 다운로드 + 다운로드 대역폭을 3MB 제한 $ gdown --id [파일고유ID] --speed "3MB" 2022. 11. 11.
[5분 컷 이해] Multiple Instance learning 이란? 요약 요약: Supervised learning의 일반적인 개념으로, Supervsed learning에서는 분류하고자할 instance가 정확히 True/False 등의 라벨이 필요한데,Multiple instance learning에서는 Instance까지는 True/False 까지는 안되어있어도, Instance의 묶음(Bag) 내에 True가 있을까? False일까를 맞추는문제. 주로 탐색해야할 영역들이 넓은 Pathological image, Document classification에 사용된다. 입/출력에 대한 상세: 입력값의 형태, 출력값의 형태, 문제는 어떤형식인가?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instance까지의 라벨은 안되어도, instance을 포함하는 bag들의 라벨만 있으면 되는 형식이다.. 2022.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