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8 [5분 컷 리뷰] Supervised Contrastive Learning MotivationCE(Cross-entropy)은 지도학습의 분류에 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많은 단점들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noisy label이나 poor margin 같은게 있어 일반화 성능이 떨어집니다. CE의 대안으로 나온 여러가지 손실함수가 발명됬지만, 여러 챌린지에서 보면 여전히 CE을 쓰듯이, 실무에서는 큰 도움은 안됩니다.최근에 대조학습(Constraive learning)으로, 라벨이 없이도 자기지도학습에서 사용됩니다. 미니 배치 내에서, 앵커와 같은 origin data은 가깝게, 앵커와 먼 데이터는 멀게 학습하는 방법으로 학습합니다. 이 논문은 자기지도학습에서의 라벨을 이용하여 contrastive learning을 이용해서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같은 클레스의 임베.. 2024. 7. 23. Segmentation loss (손실함수) 총정리 딥러닝 모델에서 이미지 분할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손실 함수가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BCE부터 MCCLoss까지 다양한 손실 함수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순서와 간단한 요약 아래와 같습니다.BCE (Binary Cross Entropy): 기본적인 손실 함수 중 하나로, 주로 이진 분류 문제에서 사용되는 함수.DICE: 두 집합간의 유성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text{DICE}= 2|AUB| / (|A|+|B|)$Jaccard loss: 두 유사성을 측정하느 또 다른 방법. $\text{Jaccard}=|A \cap B| / |A \cup B|$ Tversky Loss: Jaccard 손실 함수의 가중치 버전. $\text{Tversky}=\frac{ |A \cap B| }{ .. 2024. 7. 22. Coroutine: python 정리 기본개념: 코루틴, 메인루틴, 서브루틴코루틴을 이해하기위해서는 메인루틴과 서브루틴을 이해하고 있으면, 더 쉽게 이해가 됩니다[이전포스팅]. 이 3가지 루틴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메인루틴(Main routine): 메인루틴은 보통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며, 프로그램의 주 흐름을 담당합니다. 메인루틴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서브루틴이나 코루틴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메인코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서브루틴(subroutine): 메인루틴에서 호출되는 함수, 또는 서브루틴에서 호출되는 함수들을 의미합니다. 즉, 다른 루틴에서 호출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코루틴(Coroutine): 메인루틴에서 호출되지만, 코루틴은 실행되는 도중에, 일시중단되어 다시 메인루틴으로 전환되었다가 다시 코루틴.. 2024. 7. 17. [5분 컷 이해] DICE score의 미분 DICE 손실 함수(Dice Loss)는 Sørensen–Dice coefficient 라고도 불리며 주로 의료 영상 분석과 같은 분야에서 세그멘테이션 문제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손실 함수는 이진 분류 작업에서 두 샘플 집합의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불균형한 데이터셋에서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DICE 계수는 두 샘플 집합의 유사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DICE = \frac{2\times|X \cap Y|}{|X|+|Y|}$$|X \cap Y|$: 두 집합의 교집합의 크기입니다.|X|, |Y|: 각각 집합의 크기입니다. DICE 손실함수DICE 손실 함수는 1에서 DICE 계수를 뺀 값으로 정의됩니다. 이는 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손실이 작아지며, 예측과 .. 2024. 7. 17. [5분 컷 이해] DRIT++: Image to image translation 리뷰 Image to image translation은 두 이미지 사이의 연관성을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보통은 1) 두 이미지의 짝을 지은 데이터가 가 구하기 어려워서 image to image을 하기 어렵고, 2) 한 이미지를 꼭 반드시 하나의 이미지에만 짝을 지을 필요가 없어 데이터 구성이 매우 어렵습니다. 위의 1), 2)의 예시인데, 이렇게 이미지를 짝을 지어야하는 경우에 이 데이터를 짝짓기도 어렵고, 짝을 짓더라도 다양한 경우가 많아서 golden standard로 짝을 지었다고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방법론DRIT++은 2개의 임베딩을 나눠 만들어내는데, 1) domain invariant content space, 2) domain-specific attribute space 을 나눠 만들어냅니다.. 2024. 7. 15. H&E이미지에서 상피세포 분류(Epithelium) 이해하기 상피조직의 세포층에 따른 분류단층 상피: Simple이라는 이름이 붙어짐다층 상피: stratified라는 이름이 붙어짐. 상피조직의 세포 형태(높이)에 따른 분류판상(비늘모양 판모양): squamous (scale-, plate-like)라는 이름이 붙어짐 Cuboidal: 입방형. 가로세로가 보통 같은 모양.Columnar: 기둥형. 높은층 단층형 상피(Simple epithelia)Simple squamous epithelium: 단층(Simple)으로 이뤄진 낮은 크기(squamous)의 세포들로 이루어진 상피. 대부분의 신체에서 발견되고, 심장, 혈관, 림프관등에서 관찰됨. 핵은 납작하고 타원형으로 관찰됨 => 달걀처럼 행이보임. 보통 상피의 중앙에 핵이 있음.Simple cuboidal ep.. 2024. 7. 12. 이전 1 ··· 5 6 7 8 9 10 11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