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유전자/단백질 정리
- BAP1(BRCA1-Associated Protein 1): 단백질에 붙은 ‘없애’ 표시(ubiquitin)를 떼줘서 단백질을 오래 살게 하거나,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종양억제(tumor suppressor) 계열 기능. (이 논문에서는 Figure4에서 BAP1이 없어질수록, 종피종일수록 종양세포 옆에 CD8-T cell이 많았다.)
Cluster of Differentiation 정리
- 필요 이유: 면역세포 표면에 붙어 있는 단백질을 표기하는 국제 표준 이름. 각 T세포마다 표면에 붙은 단백질이 서로 달라서, 구분하여 명명하는게 필요했기 때문.
- 확인하는 방법:
- IHC: 일반적인 방법에 해당. FFPE블록에서 슬라이드을 제작하고, IHC 항체를 이용해서 확인함.
- Flow cytometry(유세포 분석): 혈액/체액쪽 루틴 루틴. 세포를 현탁액으로 만든 다음에 항체를 동시에 붙여서 기계에서 읽는 방법. 장점으로는 단위 양당 정확히(%, count)을 파악하기 좋지만, 공간정보는 사라짐
- 멀티플렉스 IF(mIF): 동일 슬라에드에서 마커를 한번에 확인함.

- CD3(T세포 공통): T세포면에 거의 다 붙어있는 단백질. 슬라이드에서 전체 T세포 밀도를 보고 싶을 때, CD3을 확인.
- CD4(helper T cell, Th): 주로 헬퍼 T세포(Th)가 갖고 있는 표면 단백질. B세포/대식/CD8 T세포를 도와서 면역반응을 키워주는 조정자역할. 대식세포/단핵구가 CD4가 있는 경우가 있어서 CD3+,CD4+이어야 helper T.
- CD8(Cytotoxic T cell(킬러 T세포): 바이러스 감염이나 종양세포를 직접 죽이는 세포. 높을 수록 면역이 실제로 활성화(inflamed)되어있다고 해석.
- CD68: 대식세포/조직구 계열을 찍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마커. 먹어서 소화시키는 세포들(Phagocyte)을 표시하면됨. 종양에서는 흔히 **TAM (tumor-associated macrophage)**를 보려고 씀.
기타
- Dentritic cell(DC, 수지상세포): 항원 제시 역할(T세포한테 적을 알려주는 역할. DC가 종양조직 주변에서 이 단백질이 이상해보이는 것을 주워와서 림프절이나 T세포한테 이걸 보여줌). CD11c, CD1c으로 시작하는 마커가 붙어 있음.
반응형
'Digital pat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ontrollable Latent Space Augmentation for Digital Pathology (0) | 2025.09.16 |
|---|---|
| ReMix: A General and EfficientFramework for Multiple InstanceLearning Based Whole Slide ImageClassification (0) | 2025.09.04 |
| PathGen-1.6M (2) | 2025.08.27 |
| Yottixel, SISH, RCCNet (3) | 2025.07.23 |
| Similar image search for histopathology: SMILY (1)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