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 Dict의 자료구조가 검색이 빠른 이유? hash 함수
Summary: set, dict은 해시함수를 이용한 해시값을 저장하고있는 해시테이블이란 자료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빠른 탐색이 가능함. 해시는 임의의 변수(문자열 등)를 숫자로 변환하여, 매핑하는 것을 의미함. 따라서, 임의의 변수가 오더라도 숫자로 매핑할 수 있고, 이 숫자로 매핑한 경우 인덱스처럼 사용할 수 있어 빠른 검색이 가능함. 도입: 파이썬으로 자료를 저장하다보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가령, 유전정보와 같이 1번 유전자의 100번째의 위치의 DNA가 바뀌었는지 여부 뿐만아니라... 101번, 10,000,000번째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변경되었으면 무엇으로 변경되었는지 저장한다. 문제는 이렇게 많은 정보를 저장한 것을 읽어, 특정위치(Input으로 주어지는 위치)..
2021.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