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gital pathology

FA (Follicular Adenoma) 여포성 선종 vs FC (Follicular Carcinoma) 여포성 암

by 연금(Pension)술사 2025. 2. 22.

Preliminary

 


  • 여포(Follicle): follis(공기 주머니)라는 어원에서 파생. 갑상선에서는 콜로이드(colloid)라는 단백질 물질을 포함하고, T3, T4 호르몬을 저장하고 분비하는 역할을 함.
  • 여포세포(follicular cell): T3, T4을 분비하는 세포. 정육면체(cube-like)해서, 입방형 상피세포(cuboidal epithelial cells) 형태임.

 

갑상선 여포종양(Follicular neoplasm): 말그대로 신생물이기 때문에, "benign follicular adenoma"와 "follicular carcinoma"을 포함하는 개념


  • FA(follicular adenoma)와 FTC(Follicular caricnoma)둘다 follicular cell의 분화로 생기고,  현미경적으로 미여포세포(micro-follicular architecture)을 가져서, follicle이 엄청 작은 형태로 있는 것
  • 주요 진단 방법: FNA(Fine-needle aspiration) biopsy
  • follicular neoplasm으로 진단된경우, 꽤 다양한 진단이 이후에 나올 수 있음 (benign follicular hyperplasia, follicular adenoma, follicular caricnoma,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carcinoma, Hurthle cell neoplsam) 11
  • 악성종양인지 아닌지 여부는 "혈관 침범", "캡슐(피막)"의 침범어부가 제일 중요
  • 수술하는 경우, Frozen section으로 확인하는데 암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고함 11. 20%정도는 악성이고 1cm이상. 그리고 수술하는 경우 보통 total thyroidectomy을 권
  • 진단시에는 cytology, sono, clinical feature단독으로는 어려움.  그렇기에 follicular neoplasm인 경우는  최소 수술(thyroid lobectomy, isthmusectomy 필요)
  • total thyroidectomy은 invasive follicualr caricnoma필요. 22

 

 

 

FA(follicular adenoma)은 양성종양으로 갑상선에 섬유성 피막(fibrous capsule)내에 둘러쌓여있는 종양


  • 현미경적 특징:
  • 형태: 거의 균일(homogenous)하고, 단단함.
  • 발생율: 3~4% (부검 기준), (1:5=carcinoma vs adenoma) 수술기준
  • 임상적 특징: 정상인 상태(euthyroid), 간혹 1%정도만 갑상선 항진증 (hyperthyroidism), 방사성 요오드 스캔을하면 흡수(uptake)을 억제하여 저기능성으로 남.

 

FTC(Follicular caricnoma): 악성종양.


  • 현미경적 특징:
    • FA와 유사하지만, 두껍고 불규칙한 캡슐, 괴사(necrosis), 세포분열(mitosis) 많음
    • 세포학적 특징으로 FA와 구분이 불가능
    • 조직학적 특징을 통해 구별해야함
      • 피막 침범: capsule 전체를 완전히 뚫고 지나가는 경우에 한해, 캡슐 두께가 a인데, a만큼 다 못뚫엇다면 FA에 해당
      • 혈관침범: 혈관의 캡슐 내,외강 모두 가능.
      • 갑강선 외부침범
      • 림프절 전이, 전신전이
  • FC의 세부 분류: 침습 정도에 따른 분류
    • 최소 침습형 (minimal invasive): 정의: 캡슐에 미세한 침투가 있는 경우. 비교적 좋은 예후,
    • 침습형(invasive): 혈관

 

 

Q. Frozen section에서 non-inforamtive 하다는데 이유가?

Q. " Minimally invasive follicular carcinoma is an encapsulated tumor with microscopic penetration of the tumor capsule without vascular invasion" 캡슐내에 있는데 캡슐침투?뭔말?

Q. 임상적인 징후가 다른거외에 cytological 분류가 안되는데 왜 구분해야함?

Q. 최초구분은?


Q. 두 질환이 독립적인 병리적 상태인가? 아니면 FA가 FTC의 전구체(Precursor)인가? 33

- 연속성있음(continuum of tumor progression ).

  • 근거 1: 유전자 발현차이(global gene expression)를 관찰했는데, FA와 FTC을 구분할 수 없었음. RAS mutation이 둘다 있긴헀는데, FTC에서 더 많은 빈도로 있었음.
  • 근거 2: 조절이상이 있는(deregualted epxression) 88개의 mRNA expression을 봤는데, 86%가 공유되는 문제를 가짐. 근데 FTC가 mRNA deregulatation 정도가 더 컸음.
  • 근거 3: FA와 FTC에서 조절이상이 있는 유전자(deregulated gene)를 경로분석(gene ontology로)해봤더니, 거의 비슷하고 KEGG pathway등 비슷하나, FTC에만 특이적으로 나타는 경로들이 있었음
  • 근거 4: GSEA(gene Set enrhciment test)을 사용해서 다른 연구의 데이터셋과 확인햇더니 결과가 비슷함. 
  • 근거 5: IHC을 했더니, CRABP1은 FTC에서 감소, 

Q. Mitosis로 구분한거아닌가 거의?

Dom, G., Frank, S., Floor, S., Kehagias, P., Libert, F., Hoang, C., ... & Maenhaut, C. (2017). Thyroid follicular adenomas and carcinomas: molecular profiling provides evidence for a continuous evolution. Oncotarget, 9(12), 10343.

 

sono guided:

https://www.youtube.com/watch?v=lnzBaJ4YICc

 

11 Carling, T., & Udelsman, R. (2005). Follicular neoplasms of the thyroid: what to recommend. Thyroid, 15(6), 583-587.

22 McHenry, C. R., & Phitayakorn, R. (2011). Follicular adenoma and 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The oncologist, 16(5), 585-593.

33 Dom, G., Frank, S., Floor, S., Kehagias, P., Libert, F., Hoang, C., ... & Maenhaut, C. (2017). Thyroid follicular adenomas and carcinomas: molecular profiling provides evidence for a continuous evolution. Oncotarget, 9(12), 1034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