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8

[5분 컷 이해] Grad-CAM 의 이해 요약 Grad-CAM은 CNN 기반의 모델을 해석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인공지능의 해석방법(XAI)에서는 Grad-CAM은 흔히 Post-hoc으로 분류되고(일단, 모델의 결과(Y)가 나오고 나서 다시 분석사는 방법)으로 취급된다. 또한, 딱 CNN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Model-specific 방법이다. 이 Grad-CAM의 가장 큰 쉬운 마지막 CNN이 나오고 나서 반환되는 Feature Map(본문에서:A)이 평균적으로 Y의 분류에 어느정도 되는지를 계산하고, 각 픽셀별로 이를 선형으로 곱하는 방법이다. 상세 내용 Grad-CAM은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각, 기호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y은 모델이 내뱉는 확률이며, c는 특정 라벨을 의미한다. 개 vs 고양이의 분류기이면 c의 .. 2022. 7. 17.
Kubernetes: Pod 이해하기 (Init container, livenessProbe, Infra container, static pod) Pod(파드): 여러 컨테이너를 묶어 놓은 논리적인작업 단위이다. 파드 내에는 1개의 컨테이너가 존재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존재할 수도 있다. 1개만 존재하면 싱글 컨테이너 파드, 2개 이상 존재하면 멀티 컨테이너파드라고 부른다. 그럼 컨테이너는 무엇인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파드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웹 서버 컨테이너, 로그 수집기, 볼륨(=디스크)을 묶어 하나의 파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파드 사용하는 방법 파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CLI(커멘드 명령의 인터페이스)로 실행시키는 방법이 있고, 아래의 그림과 같이 YAML포맷의 파일을 이용해서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metdata.name: 값에 해당하는 필드 및 필드명은 이 파드의 이름.. 2022. 7. 15.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 / 실습 실습 환경 구성하기 우측의 주소로 "Play with kubernetes"을 접속한다. Play with k8s은 도커 및 Tutorius을 온라인으로 실습해볼 수 있는 웹사이트이다. 여러 인스턴스가 생성이되며, 세션은 4시간이 지나면 내부 인스턴스들이 초기화된다. https://labs.play-with-k8s.com/ Play with Kubernetes Play with Kubernetes is a labs site provided by Docker and created by Tutorius. Play with Kubernetes is a playground which allows users to run K8s clusters in a matter of seconds. It gives the exp.. 2022. 7. 10.
맥쿼리인프라 (KS 088980): 펀드 분석, 2024 최소수입보장 만기가 위기일까? 핵심 요약 당사는 포트폴리오에 있는 자산중에 일부가 2024년에 최소수입보장(Minimum Revenue Guarantee, MRG)이 만기가 도래하여, 정부에서 수입을 보장해주지 않고, 초과분은 초과분대로, 손실은 손실대로 맥쿼리인프라가 갖게되어, 유입현금흐름의 변동성이 생길 수 있다 (아래 그림1). 이 글은 "2024년에 최소수입보장제도가 만기되어 실제로 현금흐름이 감소할 위험이 있는가?"에 대한 답을 알아가기 위한 내용이다. 아래의 내용은 MKIF(맥쿼리한국인프라투자융자회사)가 인프라투자로 수익을 어떤식으로 내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또한, 이 수익구조에서 장래에도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한지도 함께 조사한 내용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MKIF은 "융자"회사이다. 대출을 주운용수단으로한다. 최소수.. 2022. 7. 1.
Kubernetes Namespace, Pod, Service ,Replicaset 설명 요약 쿠버네티스는 오프젝트라는 개념으로 각 오프젝트를 정의해놓는다. 쿠버네티스내에서 사용되는 오브젝트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를 의미한다. 즉 쿠버네티스를 돌리는 것은 이 오브젝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다..오프젝트는 쿠버네티스에서 쓰이는 단위이다. Pod은 컨테이너의 집합이다. 네임스페이스는 논리적인 분리의 단위로, 네임스페이스 내에 각 리소스들을 할당해서 관리할 수 있다. 가령 클러스터내에 개발, 운영, 테스트의 각각의 네임스페이스를 두어, 자원을 원하는 만큼만 할당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쿠버네티스 내의 어떤 오브젝트인지 확인 할 수 있다. 엄청 많지만 이를 다 외울 필요는 없고 가장 중요한 Namespace, Pod, Deployments, Replicaset 정도만 이해하고 나머지는 차근차근 .. 2022. 6. 23.
[5분 요약] A deep quadruplet network for person re-identification: 해석 요약 Quadruplet loss은 Triplet loss에서 같은 클레스끼리 더 응집할 수 있도록 제약을 추가한 손실함수이다. Quadruplet loss함수를 기반으로 딥러닝 네트워크를 만든 것이 Quadruplet loss이다. 이 Quadruplet loss을 이용하면 같은 클레스(Intra-class)는 더 응집력 있게 임베딩이 되며, 다른 클레스(Inter-class)끼리는 더 거리가 멀어지게 임베딩할 수 있게 학습을 한다. 또한 Quadruplet network에서는 학습을 더 잘할 수 있게, 이미 구별이 어려운 데이터포인터들을 먼저 학습할 수 있게하는 전략도 함께 구사한다(=어려운 문제를 잘 풀다보면 쉬운 문제를 잘 푸는 것과 같은 이치) Quadruplet loss Quadruplet l.. 2022.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