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coping review vs Systematic view 차이

by 연금(Pension)술사 2025. 7. 5.

 

  Scoping review Systematic review
연구목적 연구 전반을 지도처럼 매핑하여 범위,분포,연구공백파악 특정 질문에 대한 가장 신뢰할만한 근거를 종합/권고
연구 질문 형태 넓고 탐색적
"무엇이 존재하는가?"
좁고 구체적
"A가 B에 효과적인가?"
검색 범위    
선정 기준 포함/제외 기준이 우연
연구 설계 제한 적음
RCT등 기준을 엄격히 규정
비판적 질 평가 선택 사항(필수 X) 필수
데이터 합성 빈도/주제별 서술/도식화 
(메타분석 거의X)
정량(메타분석) 또는 정성 조합으로 효과 추정치제시
결과 산출물 개념 지도 효과 크기
근거 수준
보고 지침 JBI methdology
https://jbi.global/scoping-review-network/resources

PRISMA 2020 27하옴ㄱ
프로토콜 등록 권장 필수에 가까움
소요시간 주제/범위에 따라 유동적 통상 6-18개월
전형적 활동 신생/이질적 분야 탐색, 개넘정립 근거기반 가이드라인
의사결정 지원

 

 

  • JBI methodogylo에 따라서 진행
  • PRISMA
  • OSF(Online Scicence Framework) 같은 곳에 연구자가 미리 어떤 방법으로 리뷰를 수행할 것인지 공개함으로써, 사후적으로 방법을 바꾸는 행위(=bias)를 방지. 그리고 여기에 등록하면, 이미 탐색한 주제를 중복으로 안할 수 있어서 사전등록(pre-registration)을 하는 것을 권장.
  • 또는 JMIR Research protocol 같은 저널에 프로토콜을 등록해놓고 진행

 

작성 방법에 대한 체크리스트 (PRSIMA ScR)을 이용해서 작성

PRISMA_ScR.pdf
0.09MB

반응형